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tate 사용하기
- react-query 도입후기
- react-query&Next.js
- Next.js
- 캡스톤디자인 후기
- javascript
- 일상 생각
- nextjs
- JS변수
- 결제페이지
- node.js
- state 관리
- SW캡스톤디자인
- 리액트
- 사내 이슈
- React.JS
- react-query
- 사내 오류 대응
- SSR
- 기술낙서장
- no router instance found
- 더블엔씨
- 기술 낙서장
- MSW
- 사내 오류 해결
- ClientSide
- react-query v5
- TypeScript
- React
- router instance
- Today
- Total
목록Web (15)
코딩을 잘하고 싶은 코린이 동토니
Es6가 나오면서 새로운 함수형이 나오게 되었는데 바로 Arrow function 즉 화살표 함수가 새로 등장하게 되었다. 기존 함수의 역할을 기본적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가독성과 작성하기도 편해서 주로 많이들 사용하곤 한다. 근데 화살표 함수가 일반함수의 모든것을 대체할 수는 없다. 특히나 this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 화살표함수와 일반 함수가 가리키는 this가 다르다 아래 예제를 한번 보자. function BlackDog(){ this.name = "흰둥이"; return { name : "검둥이", bark : function(){ console.log(this.name + " : 멍멍"); } } } const blackDog = new BlackDog(); blackDog.bark(); 위의..
Props JS로 웹개발을 진행해보신분들이라면 수도없이 많이 접했을 단어일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Props는 컴포넌트의 속성(attribute)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요소입니다. 즉 컴포넌트에서 다른 컴포넌트로 값을 전해주는 요소입니다. 중요한건 Props는 모든 컴포넌트와 컴포넌트 사이에서 값을 전달할 수 있는것이 아니라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값을 불러와 자식 컴포넌트가 사용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밑에 예제를 한번 보게되면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Mycomponent from "./Component/MyComponen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 } } export d..
React.js 에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이야기해보라고 하면 2가지 Class형 컴포넌트와 함수형 컴포넌트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우선 Class형 컴포넌트부터 살펴보자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ClassComponent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클래스형 컴포넌트 ); } } export default ClassComponent; 클래스를 선언후 extends로 Component 클래스를 상속받아 사용한다. Class형 컴포넌트의 특징을 살펴보면 1. state 및 LifeCycle 사용이 가능하다 2. 임의의 Method를 정의 할 수 있다. 3. render 함수로 jsx를 반환한다. 이..

html 태그들중 자주 사용되는 28가지 태그들이다. 위의 태그들을 바탕으로 HTML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자 1. HTML의 기본구조 먼저 기본구조에서 사용되는 태그들에 대해 알아보자면\ - : 웹페이지가 어떤 버전의 HTML로 작성되었는지 결정해주는 선언이다. 웹페이지에는 여러 버전(HTML4, HTML5, XHTML 등)이 있는데 현 파일이 어떤 버전으로 작성되었는지 먼저 선언해주는 것이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간단하게 현재 작성된 이 페이지를 html로 해석해라 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 : 웹페이지의 시작과 끝. 즉 페이지의 모든 요소들이 html이라는 태그로 감싸져있는것이다. - : 작성한 웹 페이지의 정보를 담아주는 태그이다. 예를들어 밑에 언급할 등 페이지에 나타낼 언어설정이나..
React.js 공부를 시작하면서 알게된 지식들을 하나하나씩 정리해 보려고 한다 오늘은 React Component에 대해 알아보자 Component란? Component는 HTML을 반환하는 함수다. react는 component를 사용해서 HTML처럼 작성하려는 경우에 필요하다. 다시 말해 우리는 react에서 component를 통해 data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component를 통해 웹사이트에서 HTML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라고 정리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처럼 HTML과 javascript사이의 이런 조합을 JSX라고 한다. 그럼 JSX는 뭐지? 나는 처음에 JSX는 마치 RxJava같은 그런 생소한 개념중 하나라고 생각을 했다 (뭐.. 생각해보면 단어 태생이유는 비슷한거 같기도 하고....